The A :

728x90
반응형

종자기능사 실기 

종자검사

 

(1) 시료추출 소집단(lot)

- 소집단의 크기

제시된 소집단의 최대중량을 기준하여 5%를 넘지 않고, 감자등 서류작물은 최대 40톤 단위로 한다.

보급종은 소집단의 크기가 최대 1000주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.

 

 

(2) 순도분석

- 목적

시료의 구성요소(정립, 이종종자, 이물)를 중량백분율로 산출하여 소집단의 구성요소를 추정하고, 품종의 동일성과 종자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확인하는데 있다.

 

- 정립의 종류

미숙립, 발아립, 주름진립, 소립

원래크기의 1/2 보다 큰 종자쇄립

 

- 이물의 종류

진실종자가 아닌 종자

배아가 없는 잡초종자

콩과에서 분리된 자엽

피해립

볏과종자에서 내영길이의 1/3미만인 영과가 있는 소화

 

- 일반원칙

검사시료는 정립, 이종종자, 이물 세부분으로 구분한다.

 

- 검사용 기기 종류

조명기구, 체, 현미경, 확대경

 

- 절차

순도분석은 1개의 검사시료 또는 2개의 반량시료로 한다.

검사시료는 g(그램)으로 칭량한다.

중량에 따른 소수점 아래 자리수 : 1이하 4, 1~10 3, 11~100 2, 101~1000 1, 1000이상 0

 

- 1개의 검사시료 분석

원래의 중량에서 5%이상 차이가 있을 때 재분석 실시

 

- 2개의 반량시료 분석(반량검사)

백분율로 표현 : 중량비율은 소수점 이하 2자리까지 산출

 

 

(3) 피해립

벼에서 발아립을 검사하기 위해 제현하는 경우 시료를 별도추출(70~77g) 하여 검사.

- 피해립 무게 환산

검사시료량 x 피해립률

 

 

(4) 발아검사

- 목적

발아검정의 궁극적인 목적은 종자집단의 최대 발아능력을 판정함으로써 포장출현율에 대한 정보를 얻고, 다른 소집단 간의 품질을 비교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.

 

- 발아율

발아시 : 파종된 종자중 최초 1개체가 발아한 날

발아기 : 전체 종자수의 약 50%가 발아한 날

 

- 유묘의 필수구조

뿌리, 싹, 떡잎, 끝눈, 초엽(벼과)

 

- 정상묘의 종류

완전묘, 경결함묘, 2차감염묘

 

- 비정상묘의 종류

피해묘, 기형, 부정형묘, 부패묘

 

- 불발아종자의 종류

경실종자, 신선종자, 죽은종자

 

- 수분측정장비의 종류

분쇄기, 항온기, 수분측정관, 데시케이터, 체, 간이수분측정기, 분석용저울

 

- 측정시료

중량 : g(그램), 소수점 아래 세자리까지 표현

시료는 외부에 30초 이상 노출시키지 않는다. 

 

- 측정시료의 양

직경 8cm 미만 : 4~5g

직경 8cm 이상 : 10g

 

- 측정방법

저온항온건조기법 : 103도 항온기에서 17시간

고온항온건조기법 : 130~133도 건조기에서 옥수수 4시간, 다른곡류 2시간 기타종자 1시간

 

- 분쇄

분쇄가 필수적인 종 : 귀리, 보리, 콩, 땅콩, 벼, 밀, 호밀, 메밀, 옥수수, 수수, 수단그라스, 수박, 벳지, 팥, 기장, 피마자

분쇄입자 크기 :

곱게 마쇄시 0.50mm을 최소 50% 통과 ~ 1.00mm 위에 10%이하가 남아야 함

거칠게 마쇄시 4.00mm을 최소 50% 통과 ~ 2.00mm 위에 55% 이상이 남아야 함

 

 

(5) 천립중

- 정의

종자 1000개의 무게

- 변이계수

거친목초종자는 6.0 기타종자는 4.0을 넘지 않으면 그 측정결과로 계산

 

 

(6) 종자건전도 검사

- 목적

종자 시료의 병해상태의 이상유무를 판정하고 종자의 가치를 비교하는데  쓰인다.

728x90
반응형

공유하기

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