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A :

728x90
반응형

.

종자기능사 실기 

종자의 발달과 성숙

 

(1) 종자의 발달과 성숙

- 씨방(자방) → 열매

- 밑씨(배주) → 종자

- 주피 → 배주

- 주심 → 내종피

- 극핵(2n) + 정핵 → 배젖(속씨식물)

- 난핵 + 정핵 → 배

 

(2) 저장조직과 배

- 저장조직

배유종자 : 벼, 보리,  밀, 옥수수, 양파, 토마토, 당근 등

무배유종자 : 콩, 완두 , 팥, 녹두, 클로버, 수박, 오이, 호박, 상추, 배추 등

-배

유아 : 배의 끝에 있는 눈으로, 신장발달을 통해 지방부의 줄기, 잎을 형성한다.

떡잎 : 양분의 저장기관으로 종자가 발아할 때 본엽출현시 까지 배에 양분을 공급한다.

배축 : 배에 있는 줄기모양의 주축으로 배축 중 자엽 윗부분을 상배축, 아랫부분을 하배축이라고 한다.

유근 : 뿌리가 될 부분으로 발아에 의해 신장한다.

 

 

(3) 종자의 외형적 특징

- 타원형 : 벼, 밀, 팥, 콩

- 구형 : 배추, 양배추

- 방추형 : 보리, 모시풀

- 방패형 : 파, 양파, 부추

- 능각형 : 메밀, 삼

- 난형 : 고추, 무, 레드클로버

- 도란형 : 목화

- 난원형 : 은행나무

 

 

(4) 종자의 외형에 나타나는 특수기관

- 종류

제(배꼽), 주공(발아공), 봉선, 합점, 우류 등

- 정의

주공 : 제(배꼽)의 끝에 위치하며 꽃갈의 침입구이다.

봉선 : 가는 선이나 홈을 이룬것으로 종피와 다른색을 띄며 길이를 통해 종자구분이 가능하다.

합점 : 봉선의 가장 끝에 있는 혹같은 점으로, 여기서부터 관다발이 갈라지면서 종자 내부로 들어간다.

우류 : 종자의 제 옆에 있는 주름

 

 

(5) 종자의 발아

지상발아 : 콩, 오이, 녹두, 강낭콩 등

지하발아 : 벼, 보리, 옥수수, 팥, 완두, 잠두 등

 

 

(6) 종자의 발아과정

수분흡수 → 효소형성 → 배의생성 → 종피파열 → 유묘출아

 

 

(7) 발아촉진물질, 억제물질

- 발아촉진물질

지베렐린, 에틸렌, 시토키닌, 질산칼륨, 티오요소

-발아억제물질 → 종자의 과피 껍질에 존재

암모니아(NH3), 시안화수소(HCN), 페놀산, 쿠마린, 아브시스산(ABA)

 

 

(8) 종자휴면

정의 : 작물이 일시적으로 생장활동을 멈추는 현상으로 식물이 불리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이며, 성숙한 종자가 발아조건이 되어도 발아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.

 

 

(9) 종자휴면의 형태

자발적휴면(내적휴면) : 외적조건이 생육에 부적당하지 않을 때, 내적원인에 의해 유발되는 휴면

타발적휴면(외적휴면, 타발휴면) : 발아력을 가진 종자지만 수분, 광, 가스, 온도 등의 외적조건에 의해 유발되는 휴면

 

 

(10) 휴면의 원인

- 종류

종피 불투수성

종피 불투기성

종피의 기계적 저항

발아억제물질

배의 미숙

배유의 미숙

발아촉진물질(생장소)의 부족

식물호르면 불균형

 

 

(11) 휴면타파방법

- 종류

종피파상법

생장조절제

광처리

온도처리

작물별 휴면타파

층적처리

- 경실종자

휴면타파 방법 : 종피파상법, 황산처리법, 건열처리법, 진탕처리법

- 층적저장 방법

나무상자나 나뭍통에 습기가 있는 모래 또는 톱밥과 종자를 층층이 쌓아 넣어 저온저장고에 보관한다.

 

728x90
반응형

공유하기

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
loading