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A :

728x90
반응형

한국

원시시대

- 신수사상에 의해 수호신으로 믿었던 당산나무

- 나무를 숭배하던 신수사상 ---시대변천---> 제한된 공간에서 식물을 꺾어 신에게 바치는 헌화양식

(자연미+창조미)

 

 

삼국시대, 통신

- 고구려가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문화를 중국으로 받아들인 시점에서 헌공화의 형식으로 꽃꽂이

문화의 큰 전환점이 됨

- 불전헌화가 주를 이룸

- 부부상 : 구름무늬 화병에 덩굴풀무늬와 꽃봉오리가 꽂혀있다.(양감적 구성+좌우대칭)

- 동벽비천상 : 꽃을 뿌려 악귀를 쫓고 부처를 청하는 산화의식(불교적인 세계)

- 석굴암 십일면관음보살상 : 삼존구성(삼각구성)_원래는 부처 양옆의 보살을 나타냈으나 연꽃으로 표현

 

 

고려시대(삼존형식_고구려의 영향을 받아)

- 꽃꽂이의 표현 영역이 크게 넓혀지는 결정적 역할

- 고려청자와 함께 보편화됨으로 실용적 목적과 미적 감상의 대상으로서 꽃꽂이가 나뉨

- 많은 꽃의 사용은 조화 꽃 문화를 발달

- 꽃을 왕이 내리는 하사품으로도 사용

- 꽃을 간직 : 압화사 / 꽃을 담당 : 권화사 / 꽃을 거두는 : 인화담원 /

임금이 하사하는 꽃을 가져다주는 : 선화주사 등의 관직들로 꽃에 관한 일들을 따로 담당 했다.

- 꽃은 화병이나 수반 등에 꽂는 것 외에도 머리, 모자, 옷 등의 다양한 장신구의 역할(자수)

- 수화도, 해인사 대적광전 ; 양감적인 표현

- 수월관음도 : 버들가지가 꽃혀 선적인 표현

- 금동모란수반화문소호 : 중앙에 직립한 줄기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

대칭 형태로 모란꽃을 배치해 풍성한 양감을 보여줌, 수반화

 

 

조선시대

- 유교사상에서 오는 소박, 품위, 격을 중요시 하여 간결하게 표현

- 꽃을 관리하는 분화관그 수가 많이 축소

- 꽃꽂이, 분경, 분대를 다루는 전문 서적저술

- 강희안<양화소록> : 원예에 관한 전문서적, 기술은 없으나 화훼에 관한 이론을 기술하는

우리나라 최초의 문헌, 최초의 백과사전

- 허균<성소부부고> : 꽃꽂이에 관한글

- 홍만선<산림경제> : 일반원예+분재 기술

- 이규경<오주연문장전산고> : 꽃을 일찍 피게 하는 법

- 서유구<임원심육지> : 농사

- 절매삽병도 : 꽃가지를 꺾어 화분에 꽂고 있는 장면

- 궁중, 사대부, 일반선비에 이르기 까지

- <조선왕조실록>, <국조오례의>, 민요나 시 등에서 꽃꽂이의 생활상에 관한 기록을 찾아 볼 수 있다.

- (), (여름), (가을), (겨울)

 

 

 

중국

- 대체로 선과 여백의 미를 살린 표현이 주를 이룸

- 그 선의 처리가 대범하며 자연스럽다.

- <부생육기> : 꽃의 선택, 구성법, 기술적인 면, 작품의 배치 등 작품 구성을 위한 방법론 에서부터

예술적인 면까지 상세하게 기록.

 

 

 

일본

- 가지를 잘라서 사용

- 최초의 화훼장식가 승려

- 이께바나 형식 사찰에서 발전

- 선과 여백의 비를 추구 인공적인 기교미와 격식화, 양식화를 강조(Line을 살린 작품)

- 한국과 비교하면 더 간결한 느낌

 

 

#flo_0hw

 

728x90
반응형

'Study > 디자인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화훼장식의 분류  (0) 2021.01.31
화훼장식의 역사 _ 서양  (0) 2021.01.30
화훼장식이란?  (0) 2021.01.28
Classic Reception Party_해양오염방지 회의  (0) 2019.04.02
클래식스타일 [Classic style]  (0) 2019.03.30

공유하기

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
loading